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7

[해외투자] 키움증권에서 미국주식 구매하기 전 유의사항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코우헤이입니다. 제가 오늘 소개할 내용은 키움증권에서 미국 주식 구매하기 전 유의사항입니다. 한국 유가증권시장은 몇 년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지만, 미국 증시는 연일 최고가를 기록하며 많은 국내 투자자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미국 주식 거래량도 늘어나는 추세인데요. 그렇지만, 아직까지 미국 주식 거래하는 방법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개인투자자에게 인기가 많은 키움증권을 활용해서 미국 주식을 구매하는 방법에 대해 글을 써 보려 합니다. 우선, 유의사항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주식을 거래하기 때문에, 환전이 필요합니다. 환전은 1. 실시간 환전과 2. 가환전 (가상 환전율로 환전 후, 익일 은행고시환율로 일괄 정산하는 방법)이 .. 2019. 7. 16.
[SKC] 2021년 목표주가 100,000원 키움증권 리포트 후기 오늘 키움증권이 SKC에 대해서 "2021년 목표주가 100,000원"이라는 리포트를 발표했습니다. SKC는 키움증권의 리포트에 화답이라도 하듯, 종가기준 3,47% 상승한 43,200원에 마감하였습니다. 약 한달 전인 6월 3일 장중 29,950원을 기록한지 불과 2달도 지나지않아, 증권사에서 목표가를 100,000원으로 상당히 대담하게 설정한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KCFT 인수를 통한 배터리 소재 사업 진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SKC는 지난 달 이사회를 열어, 1조 2000억원이라는 당시 SKC 시가총액과 비슷한 금액으로 KCFT를 인수하기로 발표했습니다. KCFT가 생산하는 동박은 배터리 소재 중에서도 분리막과 더불어 수익성이 아주 우수하며, 향후 몇 년간 수급.. 2019. 7. 15.
배당에 대해 알아볼까요? 주식투자를 하는 분이라면 배당에 대해 한번 쯤은 들어본 경험이 있을 겁니다. 배당은 간단히 말해서, 기업이 경영활동의 결과로 얻은 이익을 주주들에게 분배하는 것을 말합니다. 배당은 기업의 건전성을 평가함에 있어 중요한 도구이기도 한데, 그 이유는 배당이 가지는 특성 때문입니다. 배당은 회사의 돈이 직접 투자자에게 들어간다는 점에서 다른 투자지표와는 확연히 구분되며, 회사의 현 상황을 적나라하게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PER, PBR 과 같은 기본적인 투자지표들도 물론 투자를 함에 있어 참고해야 하지만, 경영진이 회계적인 기법으로 얼마든지 좋은 쪽으로 꾸밀 수 있는 단점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식을 투자함에 있어 우리는 반드시 회사의 배당성향에 대해 알아 봐야 합니다. 배당성향(Payout .. 2019. 7. 14.
[SKC솔믹스] 국내 반도체 및 LCD 용 파인세라믹 업계 1위 업체(Feat. 반도체 소재의 국산화) SKC솔믹스는 SKC가 지분 57프로를 보유한 자회사로, Al2O3, Si, SiC, Quartz 소재를 기반으로 반도체 부품소재를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최근, 일본의 한국에 대한 반도체 핵심 부품 수출 규제로 인해, 수출 규제 수혜주로 기대받으며 7월 4일 10프로 이상의 급등을 보이기도 하는 등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일본이 규제하려고 하는 핵심 부품(리지스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에칭가스)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보이지만, 추가적으로 일본이 규제할 가능성이 높은 반도체 소재인 반도체 웨이퍼와 관련이 있습니다. 관련기사: [원문보기: 임지선 기자, 일본 수출 규제 확대될라... 속 타는 전자부품 업계,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 2019. 7. 13.
일본 반도체 핵심소재 한국 수출 규제 반사 이익 기대되는 종목은?(feat.CPI) 최근 일본 산케이 신문에서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리지스트, 에칭가스 등 반도체 주요 핵심소재 3개 품목을 한국 수출하는데 대해 규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로 인해 반사이익이 기대되는 종목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제가 현재 관심 있는 소재는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입니다. 그와 관련된, 투명한 폴리이미드 필름인데요. CPI(Colorless PI)라고도 하는 이 재료는 아직 시장이 형성되지 않았지만, "접을 수 있는 유리"라고 불리며 기존 유리인 스마트폰 커버윈도우를 대체할 수 있는 폴더블 폰의 핵심소재로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차세대 폴더블폰 디스플레이에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 대신 강화유리가 장착될 전망이라고 합니다만, 아직까지 폴더블폰은 개화단계이며, 강화유리보.. 2019. 7. 7.
[SKC] KCFT 인수의 의미 지난달 13일 SKC가 이사회를 열고 KCFT 테크놀로지스의 지분 100%를 1조 2000억원이라는 거금을 들여 인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인수금액은 18년 12월 결산 기준으로 SKC 자산총계 3조 8000억원의 30%정도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2000억원대인 SKC에게 부담이 되는 인수가 아니냐 하는 말들이 많았습니다. 현금으로 직접 구매를 할 수 없는 만큼 SKC는 보유한 현금과 차입을 통해 일부금액을 조달하고, 화학사업부문을 분사해 쿠웨이트 국영기업인 PIC에 지분 49%를 넘기기로 했습니다. 거래금액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약 7000억원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현금 2000억 + 화학사업부문 7000억원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 (추측) 3000억원으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 2019. 7. 4.